디플로이먼트를 활용하여 백엔드(Spring Boot) 서버 3개 띄워보기
·
쿠버네티스/cka
이전 실습환경을 토대로 디플로이먼트를 활용하여 백엔드 서버를 3개 띄워보기를 진행한다.spring-deployment.yaml 파일 생성하기apiVersion: apps/v1kind: Deploymentmetadata: name: spring-deployment# deployment 의 세부 정보spec: # 생성할 pod 의 개수를 작성한다. replicas : 3 # "app:backend-app" 이라는 lable 을 가진 파드를 # deployment를 활용하여 배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. selector : matchLabels: app: backend-app # 배포할 pod의 정보를 작성한다. template: metadata: # 카테고리를 의미한다..
Pod 의 의미와 Nginx 를 Pod 로 띄워보기.
·
쿠버네티스/cka
Pod 란?Container 과 Pod의 차이.container 은 도커에서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단위를 의미한다.Pod는 쿠버네티스에서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단위를 의미한다.일반적으로 하나의 Pod 가 하나의 container 을 가지지만, 여러개의 container를 가지는 경우도 있다.쿠버네티스가 파드를 띄울 때 컨테이너를 띄우는 방식.Docker Hub, 혹은 로컬 저장소에서 이미지를 다운로드받아서 cotainer 을 띄워서 Pod를 실행시킴.Nginx 를 Pod 로 띄워보기.Pod를 띄우는 방식CLI를 활용하는 방식.Yaml파일을 활용하는 방식Yaml 파일을 활용하여 Pod를 띄워보기.코드 입력하기apiVersion: v1kind: Podmetadata: name: nginxsp..
Docker desktop 을 사용한 쿠버네티스 설치하기
·
쿠버네티스/cka
예전에 linux 환경에서 쿠버네티스를 사용하려다가 실패했었는데,최근 Docker desktop 에서 간편하게 쿠버네티스를 사용해볼 수 있다고 해서 사용해보았다. 쿠버네티스 설치하기Docker Desktop 우측 상단 설정 열기 LNB에서 kubernetis 를 열고 활성화CMD 창에서 kubectl cluster-info 입력하기위와 같이 kubernetis control plane is running at ~ 으로 나오면 성공적으로 설치된 것.kubectl 설치하기kubectl  : 쿠버네티스에 명령어를 입력할 수 있게 해주는 CLI 툴을 의미한다.kubectl 설치하기직접 설치하기https://dl.k8s.io/release/v1.32.0/bin/windows/amd64/kubectl.exe 에서 ..
2-1. 쿠버네티스 설치 / 설치 없이 웹에서 실습하기.
·
쿠버네티스
Play with kubernetes란?Docker에서 제공해주는 쿠버네티스 연습 사이트.Docker hub 계정으로 로그인 가능.설치 과정 없이 웹에서 쿠버네티스를 실습 가능.한 번 접속에 4시간 사용 가능.사용 방법링크 : https://labs.play-with-k8s.com/ LNB의 +ADD NEW INSTANCE 버튼 선택# 클러스터 마스터 노드 초기화1. Initializes cluster master node: kubeadm init --apiserver-advertise-address $(hostname -i) --pod-network-cidr 10.5.0.0/16# 클러스터 네트워크 시작하기2. Initialize cluster networking: kubectl apply -f htt..
쿠버네티스를 배우기 전에.....
·
쿠버네티스
QA로 일을 하면서 다양한 사람들과 만나봤고 면접을 보며 면접관분들께도 많은 조언을 구한 적 있다. 시스템 환경과 개발에 대한 지식이 미흡하다는 이야기를 듣고, 나름대로 selenium 과 API에 대한 공부를 하고 appium도 설치부터 간단한 실행까지 진행해 본 적 있다. 동시에 개발자에서 아키텍트로 라는 책을 읽고 스터디도 동시에 진행하고 있다. 그러나 이렇게 건드려보는 것만으로는 충분할까? 어떤부분을 더 공부해야 할까? 라는 고민이 있지만 사회는 학교와 달라서 내가 어떤 것을 더 공부해야하는 지 알려주는 선생님이 없다. 그러다 최근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개발과 온프레미스 환경에서의 개발 차이에 대해 질문을 받은 적 있다. 내가 몸담았던 회사는 클라우드 기반의 환경이었으나, 이와 관련된 QA활동을 한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