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현업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
- 현업에서는 ELB 를 활용하여 HTTPS적용을 많이함.
- 설정이 편리하고, 인증서 만료기간이 지나도 자동으로 갱신시켜줄 수 있음.
- Nginx 를 사용하는 이유
- Nginx와 Certbot 을 사용하는 이유
- ELB는 사용하는것 자체로 비용이 나가는 반면 Nginx 와 Certbot 은 HTTPS를 적용에 비용이 소요되지 않는다.
- 즉, 비용 절감의 목적으로 사용된다.
- Nginx와 Certbot 을 사용하는 이유
- 현업에서는 ELB 를 활용하여 HTTPS적용을 많이함.
- Nginx 와 Certbot으로 HTTPS 적용하기
- app.js 의 port 번호 수정하기
- EC2 > 인스턴스 > 보안 그룹의 인바운드 규칙에 3000포트 있는지 확인
- 없는 경우 보안그룹으로 이동하여 아래와같은 인바운드 규칙을 추가한다.
유형 프로토콜 포트 범위 소스 커스텀 TCP TCP 3000 0.0.0.0/0 - 이후 pm2 restart 진행
- 없는 경우 보안그룹으로 이동하여 아래와같은 인바운드 규칙을 추가한다.
- ip주소 : 3000 으로 접속했을 때 페이지 나오는 지 확인
- nginx 다운로드
- sudo apt update
sudo apt install nginx - sudo service nginx status
- sudo apt update
- 80번 포트에서 nginx 페이지 노출 확인 (도메인으로 접속해도 동일)
- Certbot 설치하기
- HTTPS 인증서를 발급받아주는 역할을 한다.
- sudo snap install --classic certbot
- sudo ln -s /snap/bin/certbot /usr/bin/certbot
- 심볼릭 링크를 만들어 /user/bin/certbot 을 통해 /snap/bin/certbot 을 실행할 수 있다.
- SSL인증서 발급받기
- sudo certbot --nginx -d <도메인 주소>
- sudo certbot --nginx -d <도메인 주소>
- 80번 포트로 접근해도 3000번 포트로 연결되도록 설정
- /etc/nginx/sites-available 으로 이동하여
"sudo vi default" 로 default를 vi 에디터로 열기 - location 의 하단 부분 수정진행 후 저장
- sudo service nginx restart로 재시작하기.
- /etc/nginx/sites-available 으로 이동하여
- app.js 의 port 번호 수정하기
'Server&load > AW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RDS 생성, 보안 그룹 및 파라미터 그룹 설정 (0) | 2025.05.01 |
---|---|
RDS 의 의미와 아키텍처 구성 (0) | 2025.04.29 |
HTTPS 적용을 위한 인증서 발급받고 HTTPS 설정하기 (0) | 2025.04.26 |
ELB 에 도메인 연결하기 (0) | 2025.04.23 |
ELB 세팅하기 (기본 구성 / 보안그룹 / 리스너 및 라우팅 / 헬스 체크) (0) | 2025.04.2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