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ELB(Elastic Load balacer) 란?
- 트래픽 부하를 적절하게 분배해주는 장치를 의미한다. (로드 밸런서의 역할)
- 서버 2대 이상 가용할 때, ELB를 필수적으로 도입하게 된다.
- ELB 의 부가기능을 통해 SSL/TLS(HTTPS) 를 적용시킬 수 있다.
- SSL/TLS 란?
- HTTP 를 HTTPS 로 바꿔주는 인증서를 의미한다.
- ELB 는 SSL/TLS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인증서를 활용하여 HTTPS로 통신할 수 있게 만들어준다.
- HTTPS 란?
- HTTPS 를 적용시켜야 하는 이유
- 보안적인 이유
- HTTP 로 통신하면 통신 자체의 데이터를 암호화하지 않고 그대로 보내게 된다.
- 중요한 정보 노출을 방지하기 위해서 HTTPS 를 적용한다.
- 사용자 이탈
- HTTP 사용 시, 브라우저 자체의 위험 메신저가 노출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이탈할 수 있다.
- 보안적인 이유
- 현업에서 HTTPS 적용 여부
- 현업에서도 HTTPS 를 적용시킨다.
- HTTPS 인증을 받은 웹 사이트가 백엔드 서버와 통신하기 위해서는 백엔드 서버에서도 HTTPS 인증을 받아야 한다.
- 백엔드 서버와 통신할 때에도 IP주소가 아닌, HTTPS 인증을 받은 도메인 주소로 통신한다.
- 통상적인 도메인 주소 구성
- 웹 사이트 주소 : https://naver.com
- 백엔드 api 주소 : https://api.naver.com
- 현업에서도 HTTPS 를 적용시킨다.
- HTTPS 를 적용시켜야 하는 이유
- ELB를 활용한 아키텍처
- ELB 도입 전 후 아키텍처 비교
- ELB 도입 전
- ELB 도입 후
- ELB 사용 전, 아키텍처는 사용자들이 EC2의 IP주소 또는 도메인 주소로 직접 요청을 보냄.
- ELB 사용 후, 사용자들이 ELB 를 통해 요청을 보내도록 구성한다.
나중에 서버가 늘어났을 때, 나눠서 서버를 요청하여 보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. - EC2에 적용시킨 도메인을 ELB 에 적용시키고, ELB 의 도메인에 HTTPS 를 적용시킨다.
- ELB 도입 전
- ELB 도입 전 후 아키텍처 비교
'AW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ELB 에 도메인 연결하기 (0) | 2025.04.23 |
---|---|
ELB 세팅하기 (기본 구성 / 보안그룹 / 리스너 및 라우팅 / 헬스 체크) (0) | 2025.04.21 |
Route53에서 도메인 구매하기 (0) | 2025.04.16 |
탄력적 ip 상태에서 EC2 종료하기 (0) | 2025.04.14 |
Spring Boot 서버를 EC2에 배포하기 (0) | 2025.04.1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