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IP의 개념
- 네트워크 상에서 특정 컴퓨터를 가르키는 주소를 의미한다. ("192.168.xx.xx" : 3000)
- nslookup {{domain}} : 해당 도메인의 ip주소를 확인할 수 있다.
'
- 여기서 domain에 "172.217.161.78" 을 입력하면 google로 이동됨
- Port의 개념
- ip에서 가르키는 컴퓨터 내에서 실행되고 있는 특정 프로그램의 주소 (192.168.xx.xx : "3000")
- 실제 서버를 운영하는 컴퓨터에서 여러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는데, 이중 어떤 프로그램과 통신을 해야하는지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.
- 브라우저 창에서 포트번호를 입력하지 않는 이유
- 도메인 주소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ip주소 뿐이다.
- 만약 port를 직접 입력하지 않는 경우, 브라우저는 80번 포트로 통신하도록 지정되어 있음.
- 만약 다른 port로 통신하고 싶다면, 주소창 뒤에 포트번호를 입력한다.
- 잘 알려진 포트(Well-known port)
- 잘 알려진 포트란?
- 포트 번호는 하나의 컴퓨터에서 0~65353 까지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.
- 이중 0~1023 번은 주요 통신을 위한 규약에 따라 이미 정해져 있다.
- 규약을 통해 역할이 정해져 있는 포트번호를 잘 알려진 포트(well-known port)라고 한다.
- 자주 사용되는 포트 번호
- 22(SSH) : 원격 접속을 위한 포트 번호
- E2C인스턴스에 연결할 때 22번 포트를 사용한다.
- 80(HTTP) : HTTP 로 통신할 때 사용
- 443(HTTPS) : HTTPS로 통신을 할 때 사용
- 22(SSH) : 원격 접속을 위한 포트 번호
- 위 규약을 꼭 지키지 않아도 됨(권장 사항)
- 잘 알려진 포트란?
'쿠버네티스 > dock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Docker Install on VM (Ubuntu 22.04) (0) | 2024.05.10 |
---|---|
9-2. 빌드에서 운영까지 (0) | 2024.05.10 |
9-1. 빌드에서 운영까지 (0) | 2024.05.08 |
8-2. 컨테이너간 통신(네트워크) (0) | 2024.05.07 |
8-1. 컨테이너간 통신(네트워크) (1) | 2024.05.03 |